우리민족의 민주주의의 시작.




민주적 전통 사상.


우리 민족은 반 만년 이라는 기나긴 역사를 이어 내려 온 문화 민족이다. 지리상으로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에 위치하여, 헤라릴 수 없이 많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 오면서 그 때마다 심한 재난을 당했지만, 우리 조상들은 이러한 시련을 슬기롭고 용감하게 대처하여 모든 고난을 물리치고 이땅을 지키며 우리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간직해 왔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전통 속에 식들어 있는 호국 정신과 아름다운 풍속, 제도 등은 모두 인간다운 생활을 하자는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겠다.


우리 나라와 경계를 한 대륙에서는 그 동안 많은 민족이 일어났다 쓰러지는 과정이 계속되었으나, 우리 민족은 다른 민족에 동화 되거나 흡수 되지 않고 굳게 단결하여 세계에서도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진 우수한 민화 민족으로서의 자부심을 지니게 하고 있다. 





홍익인간.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다."는 뜻을 가진 홍익 인간의 사상을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려왔다. 이 사상은 우리 민족의 시조로 삼는 단군의 건국 이념이다. 


이 사상은 인간의 생명과 행복을 소중히 여기는 인간 존중의 사상으로,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므로 백성을 위주로 생각하는 민본 사상의 전통을 이루게 하였다. 오늘날에는 그 듯이 계승되어 우리 나라의 교육 이념이 되어 있기도 하다. 

 


 

 


인내천.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뜻을 가진 인내천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종교인 천도교(조선 말기에 일어난 동학이 발전한 것)의 기본 사상이다. 이것은 "사람의  마음이 하늘의 섭리와 통한다."는 뜻인데, 여기에는 인간의 존엄성을 주장하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민주적 옛 제도.


우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오늘날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다수 의견에 따르는 여러 제도가 그 옛날에 행해졌었음을 알 수 있다.

 

 




화백 제도.


신라에서 실시된 회의 제도로, 부족장들이 모여 중대한 일을 의논하여 결정할 때, 한 사람이라도 반대의견이 있으면 일을 결정할 수 없는, 이른바 만장 일치의 원칙을 다른 제도로서 이 제도를 화백 제도 라고 한다. 


이 제도는 전체의 의견을 모아 결정했다는 점에서 민주적 성격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화백 제독가 실시된 본뜻은 지배자의 독단을 피하고 백성의 뜻을 정치에 반영하려는 생각에서 실시되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광문 수의.


조선시대에 있었던 제도로, 나라의 벼슬아치는 물론 널리 세상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 주요 국사를 결정함으로써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였다. 그 밖에 왕의 전권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험부, 사간원, 홍문관 등의 기관을 주어왕에게 건의하는 언관 제도를 마련하였고, 백성의 억울함을 왕에게 직접 호소하는 신문고, 백성들이 직접 서면으로 왕에게 청원하는 상소 제도 등 민주적인 제도가 행해졌다. 

 

 




이율곡 공론.



이율곡은 조선 시대에 이미 오늘날의 여론과 같은 민주 정치를 주장하였다. 이율곡은 "공론이라는 것은 온 나라 사람들에세거 나온 것이니, 결코 막아서는 안 된다. 백성의 뜻에 따를 때 국시가 정하여진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말을 새겨 보면 곧 '여론 정치를 해야한다.'는 뜻과 같다. 



 

 


+ Recent posts